티스토리 뷰
Sublime Text 설치
Sublime Text 홈페이지에 가서 해당 OS 버젼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한다.Sublime Text Package Control 설치하기
이 Package Control 은 sublime text 에 plugin 을 찾고, 설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wbond.net 사이트 로 가서 Installation 안에 있는 문구를 copy 한다.
- Sublime Text 의 Command Line 에 붙여넣고 Enter를 치면 Install 된다
- ctrl + shift + p (short key) 를 누르면 plugin 을 설치 할 수 있는 창이 뜬다.
- Install Package 라고 치면 팝업창 하단이 바뀌고 선택하면 Enter 또는 Click 을 한다
- Install Package 를 들어 갔다면 Java 라고 치면 관련 Package가 나오고 선택하면 gitHub에서 다운로드하여 자동 설치한다
단축키
단축키 기능 Ctrl + X 라인 삭제 Ctrl + Enter 다음 라인 삽입 Ctrl + Shift + Enter 이전 라인 삽입 Ctrl + L 다음 줄 선택 Ctrl + D 선택된 단어를 나머지에서 찾기 Ctrl + M 대괄호 시작에서 끝으로 바로 이동 Ctrl + Shift + M 대괄호 안에 있는 모든 문장 선택 Ctrl + KK 커서부터 라인 끝까지 삭제 Ctrl + K + Backspace 커서부터 라인 처음까지 삭제 Ctrl + ] 내어 쓰기 Ctrl + [ 들여 쓰기 Ctrl + Shift + D 반복쓰기 (단어. 줄 가능) Ctrl + J 아랫줄을 현라인 끝으로 가져오기 Ctrl + / 현라인 주석화 Ctrl+ Shift + / 주석 생성 Ctrl + Y 마지막 명령 다시 실행 Ctrl + Shift + V 들여쓰기 해서 붙여넣기 Ctrl + Space 자동완성 Ctrl + U 실행취소 Ctrl + P 이름으로 파일 열기 Ctrl + R 선택한 클래스 아이디로 바로 이동 Ctrl + ; 선택 단어 모두 찾기 Ctrl + G 선택 숫자 라인 이동 Ctrl + H 찾아 바꾸기 Ctrl + Shift + F 모든 파일 검색 Ctrl + Shift + ↑ or ↓ 커서에 있는 행 상하 이동 Ctrl + Shift + [ or ] 블록지정한 코드 접기 / 펴기 - java 환경 변수 설정 ( 변수명 : JAVA_HOME )
javacompile.bat ( 파일 이름은 자신이 원하는데로 생성 가능) 생성 후 자바가 설치된 폴더의 하위 폴더인 /bin 폴더에 넣기
@ECHO OFF cd %~dp1 javac %~nx1 java %~n1
Sublime Text 설치 폴더의 Data/Packages/Java (위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다르다) 폴더안에 JavaC.sublime-build 파일을 변경
{ "cmd" : ["javacompile.bat", "$file"], "file_regex" : "^(...*?):([0-9]*):?([0-9]*)", "selector" : "source.java" }
- 테스트 코드를 적은 후에 파일을 저장하여 F7 로 실행하면 결과창에 실행한 값들이 보이게 된다. ( 콘솔이 안보일 때는 Ctrl + ` 를 누르면 볼 수 있다)
Sublime Text 2 Java run 방법
- 다시 실행하면 preference 밑에 package conrol 추가됨.
- package control을 이용해 다음 plugin 검색해서 설치 ( cmd + shift + p > inst 입력해도 됨 )
- theme soda : 테마
- codeintel : 코드 intelligence
- brackethigh : Bracket Highlighter
- zen : zen coding
- jsformat: javascript formatter
- live css : css color 바로 확인할 수 있게
- converttoUTF8 설치
- 창/파일 이동
- cmd + alt + 숫자 : 화면 레이아웃 바꾸기
- ctrl + 숫자 : 그룹(분리된 창) 이동. ctrl + 0 을 누르면 폴더 네비게이션 영역으로 포커스가 간다.
- ctrl + shift + 숫자 : 현재 파일을 지정한 그룹으로 보내기
- cmd + alt + 좌/우 : 파일 이동 (탭 순서 기준)
- ctrl + (shift) + tab : 파일 이동(기존 열어봤던 순서 기준)
- cmd + p : 프로젝트 파일 열기. 아주 자주 사용할 듯!
- 파일 내 이동
- ctrl + g : 라인 이동
- ctrl + m : 매칭되는 brace / bracket 으로 이동. 중요!
- cmd + (shift) + u : 기존 포커싱했던 위치로 돌아감. 실수로 home이나 end 눌렀을 때 유용할 듯. 중요!
- cmd + r : 펑션/클래스 등의 주요 심볼 간 이동. 굳! 중요
- 선택 (cmd + a 같은 뻔한 녀석은 생략)
- ctrl + shift + m : 매칭 블럭으로 영역 확장. ctrl + m 이매칭 브라킷 이동인 걸 기억하면 외우기 쉽네.
- cmd + l : 줄 전체 선택
- cmd + d: 단어 선택. 하지만 multi section 특성 때문에 단순한 단어 선택은 아니다. 이해가 안가면 알아서 공부하시길.
- cmd + ctrl + g: 현재 선택 영역을 파일 전체에서 찾아 모두 선택. 이 상태에서 커서를 움직여보면 아주 멋지다. 하하하하! 중요!
- cmd + shift + j: 동일 indent 영역으로 선택 확장. 매우 재밌고, 유용해 보이긴 한데 외워서 몸에 익히긴 쉽지 않을 듯.
- cmd + u : 이전 선택 영역으로 롤백
- ctrl + shift + 위/아래 : muti section 영역 확장. vim 의 세로블럭을 뛰어넘는 대단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요!
- 찾기 / 바꾸기
- cmd + f : 당연히 찾기
- cmd + shift + f: 파일들에서 찾기. 굳굳! 중요
- cmd + i : incremental find. cmd + f 에 비해 반응이 즉각적이므로 익숙해지면 매우 편함(이클립스에도 있는 기능) 중요
- cmd + (shift) + g: find next
- alt + cmd + f : 바꾸기. 바꾸기 단축기가 왜이리 어렵냐!! 중요 바꾸기 관련 단축키도 여러개 더 있는데 이것까지 외울 여력은 없다.
- 기타
- cmd + [ , ] : 들여/내어쓰기
- shift + ctrl + k : 줄 삭제. ctrk + k 는 끝까지 삭제.
유용한 패키지 목록
내가 쓰고 있는 패키지는 다음과 같다. 코딩을 즐겁게 해준다 ;)
BracketHighlighter
블럭영역의 시작과 끝을 눈에 좀 더 잘 띄게(?) 해준다. 기본은 옅은 밑줄만 쳐져 있어 분간이 어려웠다.Theme - Soda
조금은 뚱뚱한 느낌이 드는 기본 테마를 변경해준다. Theme는 에디터 내부 문법강조 컬러를 변경해주는 Color Scheme과는 다른 개념으로, 프로그램 전체의 룩앤필을 칭한다.RailsCasts Theme
위의 Theme와는 다르게 이건 Color Scheme을 변경해준다. RailsCast 스타일이다. 현재까지 써본것중엔 기본으로 포함된 Twilight과 함께 제일 편안한 색상이다.Package Control
위에서 살펴보았다. 다양한 패키지를 커맨드 팔렛트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Quick File Creator
커맨드 팔렛트에서 파일, 폴더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마우스 안녕~Emmet (ZenCoding)
젠코딩을 가능하게 해준다. html 코딩할 때 이거 없으면 피곤하다.
[2012.01.26] ZenCoding이 Emmet으로 진화했다. Fuzzy Search 기능 최고!ERB Insert and Toggle Commands
ERB 블럭 입력을 도와준다.SublimeCodeIntel
코드인텔리전스 기능이다. 지원언어는 다음과 같다.PHP, Python, RHTML, JavaScript, Smarty, Mason, Node.js, XBL, Tcl, HTML, HTML5, TemplateToolkit, XUL, Django, Perl, Ruby, Python3
SFTP
FTP, FTPS, SFTP 지원을 위한 녀석.
_유료. 이것도 라이센스키를 입력하지 않으면 구매권유 팝업이 뜬다.Automatic Backups
파일을 저장할때마다 백업본을 생성해준다.
출처 :http://windtale.net/blog/sublime-text-tip/
[출처] SublimeText2 팁|작성자 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