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만한 아이의 집중력을 키우는 법
p17. 감정을 억누르면 불안한 아이가 된다.
부모는 아이들의 행동에 한계선을 분명히 그어주어야 한다. 그 한계를 통해 아이들은 분노와 슬픔, 반항 등의 감정들을 배운다.
p18. 아이들은 '안 돼!'라는 말에 욕구불만을 느낀다.
point 아이의 분노와 공격적인 태도를 인정하자.
p20. 낯선 환경에 처하면 아이들은 예민해진다.
point 아이들은 일시적으로 공격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다.
p21. 아이마다 위기를 극복하는 방식이 다르다.
point 아이가 위기에 처했을 때 아이의 심정을 이해하고, 도와준다.
p23.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다.
point 넓은 공간에서 뛰어놀게 해 내적인 긴장을 해소하도록 만들어라.
p24. 텔레비전은 아이들에게 스트레스를 준다.
point 시간을 정해놓고,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한다.
p24. 엄마, 아빠가 아이의 자극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아이의 자극에 대한 부모의 적절한 반응이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 아기가 보내는 신호를 알아차린다.
- 아기의 신호를 부모의 생각대로 왜곡하지 않고 올바로 해석한다.
- 아기의 연령과 상황에 맞게 즉시 반응한다.
point 부모와의 유대관계가 아이에게 안정을 가져다준다.
p42. 최소한의, 그러나 분명한 규칙을 정하는게 좋다.
p44. 규칙은 정확하게 말해주고, 아이가 잘한 점은 칭찬해주자.
p45. 자신의 몸을 알게 하자.
p48. 아이마다 재능을 보이는 분야는 다르다.
p49. 아이에게도 조용한 공간이 필요하다.
p50. 아이의 장점을 보자.
p51. 그룹활동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도와주자.
- 다양한 행동신호 인지하고 해석하기
- 자신의 감정에 대해 알기
-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서로 연관짓기
- 목표의식 갖기
- 충동적으로 행동하지 않기